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전체보기
    • day by day
    • about 전승일
    • 전승일_그림 모음
      • 전승일_고양 금정굴 연작
      • 전승일_공공미술
      • 전승일_그림_시즌7
      • 전승일_그림_시즌6
      • 전승일_그림_시즌5
      • 전승일_그림_시즌4
      • 전승일_그림_시즌3
      • 전승일_그림_시즌2
      • 전승일_그림_시즌1
    • 전승일_전시_상영
    • 전승일_트라우마
    • 전승일 애니메이션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메이션
      • 전승일_다큐멘터리
      • 전승일_애니칼럼
      • 자료_애니다큐
    • 전승일_인터뷰_기사
    • 전승일_가족_꿈
    • 자료
      • 자료_아! 예술이네
      • 자료_다큐만화_그림책
      • 자료_형제복지원 사건
      • 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 자료_제노사이드
      • 자료_정신장애
    • 음악_Pink Floyd
    • 음악
    • archives
      • 여러장르예술
      • 사회적제작_배급

검색 레이어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사법살인

  • 시노트 신부님 '선종'

    2014.12.26 by 미메시스TV

  • 4.9통일열사 39주기 추모제

    2014.04.09 by 미메시스TV

  • 책 <사법살인 - 1975년 4월의 학살>

    2014.03.29 by 미메시스TV

  • MBC "인혁당 사건 다큐"

    2014.03.01 by 미메시스TV

시노트 신부님 '선종'

“약자들 편에서 진실 알린 신부님”…인혁당 사건 유족 등 빈소에 ‘빼곡’ 이정숙(고 이수병씨 아내·오른쪽), 여규환(고 여정남씨 동생·왼쪽)씨 등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형 판결 피해자 유족들이 24일 오후 서울 서초구 반포동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제임스 시노트 야고보(한국이름 진필세) 신부의 빈소에서 조문을 한 뒤 눈물을 훔치며 나오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시노트 신부 조문행렬“사형 집행 직후 남편 주검을 찾아와 고문 흔적을 사진으로 찍었어요. 그때 키 크고 몸집이 좋았던 신부님이 대문을 지켜줬어요. ‘걱정하지 마라’, ‘하느님은 착한 사람을 먼저 데려가신다’고 위로해주셨던 기억이 선한데….”24일 오후 이정숙(69)씨는 제임스 시노트 야고보(85·한국이름 진필세)..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12. 26. 12:20

4.9통일열사 39주기 추모제

4.9통일열사 39주기 추모제에 다녀왔습니다~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대성당을 가득 메운 추모의 인파..."박정희 독재정권"이 자행한 '사법살인'의 씻을 수 없는 고통과 상처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다시한번 제 자신에게 결의를 다졌습니다혼신의 힘을 다해 "만화"를 그리겠습니다~ 그 만화의 제목은 "만화로 보는 대한민국 국가폭력 연대기 " 입니다

day by day 2014. 4. 9. 23:55

책 <사법살인 - 1975년 4월의 학살>

(천주교인권위원회 엮음 / 학민사 / 2001) 책의 뒤표지에는 소위 '인혁당 사건'이라 불리는1975년 4월에 집행된 사법살인의 희생자 8명의 사진이 실려 있다. 민청학련, 그리고 인민혁명당 사건... 참으로 오랜 시간 동안 입에 올리지 못했지만많은 이들의 가슴에 깊은 한으로 남았던 야만적 폭거였다. 인간의 존엄성과 보편적 권리를 수호하는 활동을 활발히 벌이고 있는'천주교인권위원회'가 당시의 사건을 꼼꼼하게 재구성하고 기록하였다. 군사독재정권은 유신에 저항하는 학생과 민중들의 궐기를 민청학련의 책동으로 돌리고북한의 지령에 따라 학생들을 조종하는 '인혁당'이라는 가공의 조직을 만들었다. 특히 대법원 확정판결 후 불과 하루도 지나기 전에8명의 생명을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게 한 인혁당 사건은 '사법사상 암흑..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3. 29. 21:46

MBC "인혁당 사건 다큐"

MBC "이제는 말할수 있다" (2005. 4. 3 / 제89회) 오는 9일이면 ‘인민혁명당(인혁당)’ 사건이 일어난 지 30년이 된 다. 그러나 이 사건이 2002년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로부터 ‘고문 에 의한 사법살인’으로 규명되었음에도 인혁당 관계자들의 명예회 복은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에서 는 인혁당 사건 30주년을 맞아 인혁당 구명운동에 앞장섰던 외국 인들의 시각에서 인혁당 사건을 재조명하려 한다. * 한국 민주화의 벗들, 월요모임(Monday Night Group) 1972년 한국에 거주하고 있던 50여 명의 외국인들은 학생들의 잇 따른 구속, 언론 자유에 대한 억압, 인권 유린 등 한국의 사회 문제 에 대해 의문을 갖는다. 이에 ‘월요모임’이라고 칭해지는 외국인들 의 모임을 만들고 매주..

자료/자료_국가폭력 트라우마 2014. 3. 1. 11:0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전승일의 <포스트 트라우마 - Post TRAUM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